WOL 기능을 사용해 보자(NF550 헤라클레스)
본인의 경우 집에서 사무실 pc로 접속해서 업무처리 할때가 많다.
그래서 퇴근시 매번 사무실의 본인pc를 켜놓고 퇴근하는 경우가 허다한데...
이건 뭐~ server도 아니고... 매번 켜놓다 보니 Power 수명이 다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그래서 대충 봐왔던 WOL(Wake On Lan)기능을 찾아서 Internet을 이리저리 뒤지다 보니.. 후후후
꽤 좋은 정보들이 많았다...
참고사이트 파코즈:"[통신] 집의 PC를 원격으로 켜고 원격데스크탑 연결을 하자!"
참고로 유동ip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DDNS Service를 이용하거나 공유기를 사용한다면 공유기의 DDNS Service를 이용하면된다.
본인의 경우 사무실 Network환경이 고정ip환경이므로 ip환경에 대해선 편리했다..
자..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서 WOL기능을 본격적으로 사용해 보자.
본인의 PC Mainboard는 유니텍 헤라클레스 NF550 AM2이다. 따라서 모델이 다른 Mainboard 사용자는 설정 메뉴가 틀릴수 있다.
우선 BIOS 설정으로 들어가서
- 아래 그림과 같이 Power Management Setup 메뉴로 들어간뒤..
-_-;;; 폰카로 찍은거라 화질이 많이 구리다~~~
- WOL(PME#) From Soft-Off와 WOR(RI#) From Soft-Off의 기능을 Enable 시켜준다.
WOR의 경우엔 궂이 Enable해주지 않아도 될듯하나 본인의 pc에서 안되길래 그냥 Enable 해줬다.
그리고 설정을 저장후 재부팅
- Windows에 로긴후 NIC 등록정보로 들어간뒤 아래그림처럼 "고급탭"에서 "Wake on Magic packet"의 값을 Enable
*참고로 WOL에서 사용하는 방식은 Magic packet을 보내어 boot하는 방식이다.
- 위 그림과 마찬가지로 Wake on pattern 값도 Enable
- 요놈도 마찬가지로 Enable
- "전원관리탭"에서 "전원을 절약하기 위해 컴퓨터가 이 장치를 끌 수 있음" 항목을 체크 해제 한다.
이 항목을 체크하게 되면 PC가 OFF될경우 NIC도 작동하지 않는다. 고로 WOL기능을 사용할수 없게된다.
PC를 껏을때 NIC의 LED가 들어와야 하는데 LED가 들어오지 않는다면 이 항목의 체크를 해제 해 주면 된다.
그리고 "확인"을 눌러준뒤..
command창에서 c:\>ipconfig /all 해서
본인PC의 IP address, subnetmask, MAC Address 확인을 한다...
그리고 pc를 끄자..
이제 제어를 할 pc에서 Magic packet을 보내 원격지PC를 booting시키는 일만 남았는데..
Magic packet를 보내는 프로그램이 여러가지 있는데.. 본인의 경우 wolgui(첨부)라는 프로그램이 가장 작동이 잘되는것 같았다.
일부 Magic packet 프로그램은 Local Network환경에서만 작동하거나 WAN환경에서는 작동을 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 이였다.
그래서 찾다 찾다보니 wolgui라는 프로그램이 가장 정상적으로 작동하였기에 이 프로그램으로 설명할까 한다.
첨부된 파일은 358KB의 작은 용량이며 아주 심플하다. Install과정도 없이 바로 실행된다.
얼마나 편리한가! ^^
WakeOnLanGui.exe 요넘을 실행시키면 아래 그림과 같이 나온다.
설정 옵션
위에서 확인했던(ipconfig /all) 네트워크 정보를 입력해 준다.
Send Options은 만약 부팅해야할 pc가 외부네트워크일 경우 Internet을 선택하고(예:집pc-사무실pc)
같은 subnetwork상에 존재한다면 Local Subnet으로 선택하면 된다.
그리고 Remote Port Number에는 WOL이 사용하는 포트인 7을 넣어주고
하단의 "Wake Me Up" 버튼을 눌러주면 원격지 pc가 booting 된다.
booting이 완료되면.. Windows의 기능인 "원격데스크탑 연결" 이라든지 VNC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