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관련 Tool

국산 Terminal Program Aromnet

불량소금 2008. 11. 2. 20:19


국산 Terminal Program

SecureCRT처럼 탭(Tab)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SSH는 미지원

Freeware로서 어디서나 사용가능, 적은용량이며 실행파일로 구성되어 있어서 따로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음.

 

 

사용법

  • 맨처음 실행하면 접속목록이 비어있는 접속창이 나타납니다. 추가 버튼을 누른 후 세션이름과 호스트 이름(혹은 IP 주소)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면 접속목록에 새로 추가한 세션이 표시됩니다. 이제 원하는 세션을 선택한 후 접속 버튼을 누르면 해당 호스트로의 접속을 시작합니다.(필요에 따라 통신설정, 화면설정, 로그인스크립트 등의 설정을 바꾸시기 바랍니다.)
  • 세션 설정없이 바로 접속하고자 할 때에는 파일메뉴의 빠른 접속을 선택한 후 호스트 이름(혹은 IP 주소)을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면 됩니다.
  1. 명령줄 옵션
    명령줄 옵션을 사용할 경우에는 바로가기 아이콘을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aromnet [/session [그룹이름:]세션이름] [/script 로그인크립트이름] [/userid 사용자이름]
             [/password 패스워드] [/port 포트번호] [호스트이름 혹은 IP 주소]
    <예>
    aromnet home.hitel.net
    aromnet home.hitel.net /userid myid /password mypasswd /script hitel.scl /port 3000
    aromnet /session testgroup:hitel
    aromnet /session hitel
    aromnet /session hitel /userid otherid /password otherpasswd
    스크립트파일의 경로를 따로 지정하지 않을 경우 아롬넷 설치폴더에 있는 것으로 간주함.
    명령줄 옵션을 사용해서 접속할 경우 접속창이 닫히면 프로그램이 자동종료합니다.
    단, 접속한 후 추가로 창을 열 경우에는 자동종료하지 않습니다.
  2. 두 개 이상의 서버에 자동접속하는 기능
    자동접속기능을 사용하려면 AromNet /auto 자동접속파일(확장자 제외) 식으로 실행하면 됩니다.
    자동접속파일은 확장자가 atc인 텍스트파일이며 상술한 명령줄 옵션을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조는 단순하며 아래와 같이 각 줄에 세션의 이름을 하나씩 입력하면 됩니다.
    그룹 내에 있을 경우 그룹이름:세션이름 식으로 입력하면 됩니다.
    hitel
    testgroup:daum
    hanaro
    파일이름이 autorun.atc 라면 AromNet /auto autorun 이라고 실행하면 됩니다.
  3. 기본적인 옵션 설정
    • 옵션 - 환경설정 메뉴를 선택해서 기본적인 설정을 합니다.
    • 옵션 - 디폴트값 설정 메뉴에서 모든 세션에서 공통적으로 설정할 내용을 선택합니다.
    • 각 세션정의에서 디폴트값을 사용할지 안할지를 별도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4. 세션 정의
    • 파일 - 접속 메뉴를 선택하면 나타나는 접속 다이얼로그박스에서 추가버튼을 눌러 세션을 정의한 후 확인 버튼을 누르세요. 기정의된 세션을 수정한 후 갱신할 경우에는 수정버튼을 누르며 삭제할 경우에는 삭제 버튼을 사용합니다. 모뎀 접속을 원하면 연결 항목에서 모뎀을 선택하고 Telnet 접속의 경우 TCP/IP를, 시리얼 포트의 경우 COM 포트를 선택하세요. 그리고 접속 버튼을 누르면 해당 호스트에 접속됩니다. 연관된 세션들은 그룹으로 묶을 수 있으며 그룹 속의 그룹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세션 설정 다이얼로그 박스]
      접속 다이얼로그 박스의 추가나 수정버튼을 누르면 나타나는 세션 설정 다이얼로그 박스는 4개의 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일반설정탭에서 세션의 기본적인 사항을 설정합니다. 세션이름에는 기억하기 쉬운 이름을 아무거나 입력하면 됩니다. 연결에는 TCP/IP(Telnet인 경우), 모뎀, COM 포트 등의 연결방식을 지정하면 됩니다.
      • 화면설정탭을 누르면 화면설정 관련 박스가 나타납니다. 여기서 저장할 라인 수는 스크롤되어 지나간 라인 중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는 라인 갯수를 의미합니다. 이는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통신설정탭에 있는 게시판 선택 막대는 타 프로그램의 꾀돌이 마우스와 유사한 기능을 합니다. '드라이버를 사용하지 않고 인쇄함'은 direct printing을 위한 기능입니다. 접속유지를 위하여 일정시간마다 문자열을 보낼 수 있습니다. 문자열은 로그인 스크립트 등에서 사용되는 특수문자 및 예약어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로그인 스크립트탭에 있는 로그인 스크립트는 로그인시 자동적으로 수행할 일들을 지정한 파일입니다. 로그인 스크립트 파일은 어느 곳에 저장해도 무방하지만 가급적이면 확장자를 SCL(디폴트 확장자명)로 하고 아롬넷 폴더에 저장하길 바랍니다. 이용자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스크립트 파일의 예약어인 $USERID와 $PASSWORD를 대체해서 자동 입력됩니다. 비밀번호는 암호화되어 나타나지만 모암호를 이용하여 볼 수 있습니다.
    • 로그인 스크립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이 2가지입니다.
      wait [시간] [문자열]
      시간은 스크립트 다음 행을 처리하기 전에 대기할 시간을 의미합니다. 문자열은 현재 수신을 기다리는 문자열을 의미합니다. 문자열은 반드시 "로 둘러싸야 합니다. 시간과 문자열 둘 다를 입력하거나 어느 하나만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둘 다를 입력하면 어느 한 조건이 만족되면 다음 행으로 넘어갑니다.
      wait "login: " : "login: " 문자를 무한정 기다림.
      wait 5.5 "login: " : 5.5초가 지나거나 "login: "문자가 수신되면 OK
      wait 10.34 : 10.34초가 지나면 OK
      send [문자열]
      "로 둘러싸인 문자열을 보냅니다.
      [SAMPLE SCRIPT]
      wait "login: "
      send "$USERID\r"
      wait "password:"
      send "$PASSWORD\r"
    • 옵션-키보드 설정은 키보드를 사용자 입맛에 맞게 설정하기 위해 사용 합니다. 기본적으로 VT100과 VT220, Linux 세 가지가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수정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추가 버튼을 이용하여 새로운 키보드 세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입력한 키보드 세트의 이름은 저장할 파일의 이름으로 사용되므로 파일 이름 규칙에 맞게 입력하셔야 합니다. 이 후 오른 쪽의 추가 버튼을 누른 후 키 편집 화면에서 수정을 원하는 키를 선택하고 문자열을 입력함으로서 키를 새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것을 수정하려면 콤보박스에서 해당 키세트 이름을 선택한 후 리스트 박스의 해당 엔트리를 더블클릭한 후 새 문자열을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문자열에는 특수 문자 입력도 가능합니다. (아래 특수문자 및 예약어 참조)
      마지막으로 설정한 키보드세트는 세션설정 다이얼로그 박스의 통신설정탭에서 선택해 주어야만 터미널창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옵션-빠른실행 설정을 통하여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를 푸쉬버튼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입력한 빠른실행 세트의 이름은 저장할 파일의 이름으로 사용되므로 파일 이름 규칙에 맞게 입력하셔야 합니다. 기존의 것을 수정하려면 콤보박스에서 해당 빠른실행세트 이름을 선택한 후 리스트 박스의 엔트리를 더블클릭한 후 문자열에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설정한 빠른실행 세트는 세션설정 다이얼로그 박스의 통신설정탭에서 선택해 주어야만 터미널창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특수문자 및 예약어
      로그인 스크립트와 키보드 설정, 접속유지신호, 빠른 실행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특수문자 및 예약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b : backspace
      \s : space
      \r : return (carriage return)
      \n : line feed
      \t : tab
      \\ : \ 문자
      \nn : nn은 두자리 16진수 ASCII 코드 (예: \1B (ASCII 코드 27))
      $CSI : CSI character (7bit mode시 Esc[로 자동변환)
      $SS3 : SS3 character (7bit mode시 EscO로 자동변환)
      $USERID : 사용자가 저장한 사용자이름
      $PASSWORD : 사용자가 저장한 패스워드
      $$ : $ 문자
      사용자이름과 패스워드는 통신설정 창에서 입력하며 패스워드는 암호화 되어 저장됨
      (예)
      <ESC>P -> \1BP
      <ESC>ins -> \1Bins
      <ESC>[A -> $CSIA
      <ESC>OA -> $SS3A
  5. 터미널창
    여러개의 창을 열 수 있습니다. 창 사이를 이동할 경우에는 창 메뉴나 메뉴하단에 있는 탭바에서 원하는 창을 선택하세요. Ctrl+Tab이나 Ctrl+F6 으로도 전환이 가능합니다.
  6. 파일전송 및 수신
    • Ascii파일을 보낼 경우에는 도구 - 텍스트 파일 보내기 메뉴를,
    • Ascii파일로 저장할 경우에는 도구 - 문자열 갈무리 메뉴를,
    • Binary파일을 보낼 경우에는 도구 - 파일 보내기 메뉴를,
    • Binary 파일로 저장할 경우에는 도구 - 파일 받기 메뉴를 사용하세요.
    • 서버에서 GETFILE, RUNFILE, PUTFILE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간편하게 전송할 수도 있습니다.
    •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펄 스크립트를 다운로드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7. 쪽지 기능
    • 도구 - 쪽지 보내기를 선택하면 많이 사용하고 있는 메신저의 창과 유사한 친구 목록이라는 창이 뜹니다. 먼저 추가버튼을 눌러서 그룹을 추가하고 그룹 내에 사용자를 추가하면 됩니다. 쪽지를 보낼 때는 쪽지를 보내기를 원하는 사용자를 선택한 후 쪽지 보내기 버튼을 클릭한 후 필요한 내용을 적으면 됩니다.
    • 쪽지가 왔을 때 작업줄을 보면 편지봉투 모양의 허접한 아이콘을 볼 수 있습니다. 더블클릭하면 쪽지함을 열어 줍니다.
    • 쪽지함을 바로 열려면 도구 - 쪽지 목록 보기를 선택하세요.
    • 상대방이 보내는 쪽지의 수신을 제한하려면 옵션 메뉴의 환경 설정에서 쪽지 암호를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8. 블럭 선택기능
    • 블럭은 컬럼별로 혹은 일반적인 라인별 지정이 가능합니다.
    • 옵션 - 컬럼 블럭 메뉴를 사용하면 컬럼별 블럭 지정이 가능합니다. 컬럼별 블럭은 특정 열의 숫자를 복사할 때 편리합니다. 블럭은 왼쪽 마우스 버튼을 누른 채로 drag함으로서 지정하며 블럭을 추가하고자 할 경우 원하는 위치에서 Shift 키를 누른채로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또한 오른 쪽 마우스 버튼이나 중간버튼을 누르면 전송하게 됩니다. (오른 쪽 버튼의 기능은 메뉴 표시 - 옵션 환경설정 메뉴에서 변경 가능) 그리고 Ctrl-Ins나 Alt+C를 누르면 현재 선택한 블럭을 clipboard로 복사하며 Shift-Ins나 Alt+V를 누르면 clipboard의 내용을 전송하게 됩니다. Alt+Z를 누르면 복사와 동시에 전송이 이루어집니다.
    • 화면상의 단어를 더블클릭하면 해당 단어를 전송해 줍니다. 그리고 빈 화면을 더블클릭하면 Enter키를 전송합니다. BBS에서 사용하면 약간 편리하리라 생각합니다.
  9. 입력창
    화면 아래에 나타나는 문자입력창은 MS-DOS의 doskey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기존에 입력한 내용은 아래 혹은 위 화살표를 사용해서 검색할 수 있습니다.

 

 

첨부1 : aromnet11a.zip[1.10a 버전(2005.08.09)]

첨부2 : aromresen.zip[영문판]

영문판의 경우 다운로드하여 압축을 푼 후 AromResEn.dll 을 AromRes.dll 로 변경하여 아롬넷 폴더로 복사 

출처 : http://www.pcclassic.com/software/aromnet.html